면역학의 분류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므로 과거에 사용한 분류법과 최신 분류법까지 설명하려고 한다.
Passive Immunity와 Active Immunity로 능동적과 수동적의 차이로 분류한 것인데, Active Immunity의 경우 외부 항원을 통해 항체 처리되는 것을 의미했다.
그 다음 분류법으로 Humoral Immunity(HI)과 Cellular Immunity(CI)이다.
Humoral Immunity는 체액성 면역으로 항체가 관여하며, Cellular Immunity는 세포성 면역으로 항원 특이적&항원 비특이적으로 분류해 T 세포(T Cell)과, 항원 비특이적으로 자연살해 세포(NK Cell)로 분류해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의 메커니즘으로 몸이 보호된다는 것을 분류해놨다.
따라서 체액성 면역은 혈액 순환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Effector B Cell로 활성화되며 Clonal 되고, 세포매개성 면역은 Cytotoxic T Cell로 활성화되며 Clonal 되고 감염된 세포를 파괴한다.
여기서 항원은 Antigen, Ag라 하며 흔히 체외에 존재하는 세균(Bacteria), 바이러스(Virus)가 그 예시이며 이들은 특이성(Specificity)를 가지고 있어 몸의 면역계에서 이를 통해 해당하는 항체(Antibody, Ab 혹은 Immunoglobulin, Ig)를 가진다.
체액성 면역에서 이 항원이 세포가 아닌 물질이라고 하여 Humoral Immunity로 구성한 것이다.
예시로 항원이 체내에 침입했다는 것을 가정하면, 항원의 특이성에 항체가 생성되고 체액성 면역과 Cell Signal로 동시에 세포성 면역이 진행하게 된다.
침입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대식세포(Macrophage)와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DC)가 작동해 Phagocytosis로 탐식작용이 이뤄진다.
먹은 후에 수지상세포 표면에 특이한 표지(Epitpope)가 생기며 T Cell이 DC와 결합해 정보를 공유해 해당 항원을 모조리 죽이게 된다.
(이때의 원리는 추후에 포스팅을 통해 설명하겠지만 T Cell의 Receptor인 TCR로,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MHC 1과 달리, DC가 가진 MHC 2 Class에 Loading된 Epitope를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수지상세포가 대표적인 항원 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라 한다.
더 최신 분류로는 Adaptive Immunity, Innate Immunity로 분류한다.
Adaptive Immunity는 항원을 경험한 것들로 APC가 관여하며 Specificity를 가지고 항원정보를 가져 획득성 면역이라고 한다.
이들의 구성은 Lymphocyte로 B Cell, T Cell이 있다.
Adaptive immune response로 체내로 항워이 들어온 3일 이후에 시작하며 Ag와 APC로 개시되며 2차는 Lymphoid Tissue에서 진행된다.
Innate Immunity는 항원이 체내에 들어오자마자 즉시 반응하는 선천성 면역으로 구성은 Granulocyte로 NK Cell, Macrophage, Dendritic Cell이 구성된다.
Innate Immunity가 주의할 점으로 Self와 Non-Self를 잘 판단해야하는데, 혼동시에 자가면역질환이 진행되기 마련이다.
마지막으로 면역반응에 대한 정리로,
1차 면역반응은 항원의 첫번째 노출로 Lymphocyte가 활성화되는 것이고, 2차 면역반응은 같은 항원이 그 이후에 노출되어 더 빠르고, 더 좋게 활성화되는 것이다.(Memory B Cell이 그 예시)
'과학 > 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세포의 종류 (0) | 2018.11.14 |
---|---|
면역시스템의 인식 순서 (0) | 2018.11.14 |
면역세포들의 분화와 교육 발달성숙과정 (0) | 2018.11.14 |
기본적 염증 과정 간단 정리 (1) | 2018.09.19 |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DC) (0) | 2017.07.24 |